2013/05/31

오랜만의 SF영화, 오블리비언(Oblivion) - 나는 이 영화의 철학,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일본은 대부분의 해외영화를 다른 나라보다 늦게 상영을 시작한다.
내가 보고 싶어하던 영화들이 다른 나라의 개봉소식을 듣고도 2달은 있어야
일본에서 개봉을 하니까.

다만, 다행인 것이라면 영화관의 영화들은 더빙을 하지않고 자막처리를 하기 때문에
대충 알아듣는 영어라 하더라도,
영화관에서 마음껏 영화를 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더빙을 하던 독일과 달리.... ㅠ.ㅠ)

덕분에 나는 어제 세번째로 일본에서 영화를 볼 수 있었다.
첫번째는 한국영화였던 '광해'(일본 제목: 왕이 된 남자), 
두번째는 단순 액션영화인 '아이런맨3' - 3D,
그리고 세번째는 톰크루즈가 나오는 SF영화, '오블리비언(Oblivion)'이였다.

사실, 광해는 한국영화를 영화관에서 볼 수 있다는 기쁨에 별 생각없이 선택했었고(만족스러운 영화이기도...)
아이런맨은 친구들과 봤더니 재미있었고,
오블리비언은 두 달 전부터 보고 싶었던 것을 기다려서 보게된거라 기대감이 무척 컸다고 할 수 있다.

*** 질문과 감상에 촛점을 두고 적다보니.. 스포일러 포함되어있음. ****





















우선 오블리비언의 예고편부터 보았지만,
전혀 본 영화의 내용을 알게 해주는 정보가 없었기에 잘 만든 예고편이 아니였을까 싶다. (대부분 액션영화는 예고편이 다니까).

또한 화려한 영상은 이 영화의 최대 강점이 아닐까?

하지만 스토리상으로 보면 한 두 가지 질문이 생겨나는 것이 아니였다.
1. 왜 외계인은 굳이 지구인을 지구 침략의  도구로 사용하였을까? 복제에, 인간사회성에 대한 파악, 그리고 지구인을 위한 시나리오 제작과 비디오 영상 제작까지 다 해야 하잖아!
2. 그리고 왜 본부로 지구인(줄리아)을 데려오라고 지시를 내렸을까? (전혀 데려오라고 할 필요가 없는 듯 싶은데)
3.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에서 송신되던 '신호'는 뭐지? 타이탄 탐사선(줄리아)을 부르는 거였는지 아닌지가 잘 이해되지 않는다.
4. 2017년이면 겨우 4년 뒤인데, 그 때 타이탄 탐사 유인왕복우주선이 가능하다고는 결코 생각하지 않는다. 좀 더 이후(2030-2040년 즈음?)로 잡아도 됐을텐데.

과학철학 측면에서 역시 여러 생각에 잠기게 하는데,
1. 생체 복제가 기억복제까지 할 수 있을까에 대해- 나는 가능성 제로라고 생각하는데.
기억도 복제되었다면, 굳이 외계인이 기억을 복제해서 주입할 이유가 있었을까?
2. 본체의 기억의 일부가 함께 있고, 유전자가 동일하다고 해서, '같은 사람'이라고 받아들이는 것이 상식적으로 가능한가? 난 '아니요'라고 결부짓는다. 나에게 있어 인간성은 기억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런 식이면, 일란성 쌍둥이를 '너희는 같은 사람'이라고 하는 것과 뭐가 다른가? 기억이 다르며, 사회적인 관계가 다르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일란성 쌍둥이를 '다른 사람'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 장면에 대해... 둘의 눈물은 서로 전혀 다른 의미의 것이 아니던가?
과연 중간의 '가슴아프게 슬픈' 공유기억이 없는 사람이라도 '넌 같은 사람'이라며 마냥 기뻐할 수 있을까? 복제인간이 서로를(본체를 포함) 대신 할 수 있다면... 각 개체는 '부활'의 교체 개념까지도 가능한 존재가 된다.


나에게는 오블리비언이 과학철학측면에서, 복제인간에 대해 상당히 다른 견해를 피력하려는 영화라고 보여진다.각 개체에 대해.... 그들이 같은 기억을 공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전재로 접근했다. 그럴 경우, 사실 이들은 어떤 이유로든, '죽음'에 대해서 자유로울 수 있는 '불사'의 존재로서도 그려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잭은 죽음을 불사르지만- 또다른 복제된 잭이 나타나 그의 존재를 '동일한 존재'로서 이어가니까)
아휴. 이거 위험한 생각아닌가. 각 복제인간을 다른 '인간'으로 본 것이 아니라, 동일한 사람으로 바라보다니.

복제인간에 대한 새로운 접근에 대해, 나는 개인적으로 반대하는 접근이긴 하다만,
오래간만에 영화를 보고 한 참 생각에 잠기게 된 듯 싶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구글 블로그 댓글 사용이 불편함이 많으니, '익명'으로 쓰시고, 본글에 이름을 적으셔도 무방합니다.

대전 생활 1년

14년의 해외생활을 마치고, 2022년 6월부터 대전의 생활을 시작했다. 처음 대전에 도착한 한 달 동안은 마치 한국어를 사용하는 어떤 나라에 온 듯한 기분이였다. 정신없이 지내다보니 벌써 1.5년이 지났다. 아직도 나는 대전이 낯설다. 이 낯설음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