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2/07

과학동아에 내 글이 실렸다

작년 말, 내가 일하고 있는 연구팀의 금성탐사선이 성공했다.
다양한 국가에서 기사화되던 것은 그렇다치더라도,
한국에서도 뜨문뜨문 짧은 인터넷 번역기사가 나오는 것을 보게 되었다.

'어라... 저런 내용밖에?... '
조금 더 금성에 대한 기사가 나오길 바라게 되던 것도, 그 즈음, 친구와 동료의 말 덕분이기도 했다.
"그들이 네가, 한국인이, 일하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겠어? 네가 연락을 해봐야지"

그래서 연락하게 된 곳이 과학동아였다.
태양계에 대한 기사를 작성한 이영혜 기자님에게 혹시나 싶은 마음으로 연락을 하게 되었는데,
어랏... 처음의 '제보'정도의 취지를 넘어서,
2페이지의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과학동아에 실린 내 글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

맨 처음에는 전혀 부담이 없었다.
사실, 내가 일하는 것을 세미나 혹은 강연회가 아닌,
'대중'에게 말해보는 첫 경험이라 그런지,
무척 신이 났다.
그렇게 기쁘면서...

그런데 한 편으로는 부끄러워지기 시작한다 (내 본래의 연구는 아직 아니니까).
결국 뭔가 스트레스도 느껴지는 과정이였달까?

하지만 대중 과학을 위해 뭔가 작은 일을 시작했다는 뿌듯함만큼은 분명하다.

댓글 8개:

  1. 오 재밌겠다 ㅎㅎ 읽어봐야겠네

    답글삭제
    답글
    1. 읽어봐준다면야 고맙지.ㅎㅎㅎ

      삭제
  2. 꼭 읽어봐야겠다ㅎㅎ 축하해!!

    답글삭제
    답글
    1. 아이쿠, 고마워요, 현남오빠. 잘 지내고 계시죠?

      삭제
    2. ㅇㅇ신혼생활 즐기면서 잘 지내고 있어^^ 살이 찌고 있다는게 문제지...^^;;

      삭제
    3. 부인의 요리솜씨가 좋으신 모양이네요! 살이 빠지는 것보다 나은데요? 행복하게 지내고 계신다니 듣기 좋네요. 종종 얘기 남겨주세요~

      삭제

구글 블로그 댓글 사용이 불편함이 많으니, '익명'으로 쓰시고, 본글에 이름을 적으셔도 무방합니다.

키루나의 채운 Iridescent clouds over Kiruna

파스텔톤의 다채로운 색이 구름의 일부분에 나타나는 현상을 채운이라고 한다. 햇빛이 작은 구름입자들 각각에서 반사를 일으키고, 반사된 빛들이 서로 간섭현상을 일으켜 나타나는 색의 다채로운 변화라고만 알고 있다. 채운이라는 현상을 우리나라에서도 가끔 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