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24

베지테리안은 어떤 소설인건가

베지테리안 (Vegetarian) -Han Kang (translated to English by Deborah Smith)

저번달 영국 옥스퍼드에 출장갔다가
짧은 자유시간에 내가 간 곳은 대학도시답게 큰 서점이였다.

그 서점의 맞은편에서는 작은 행사장이 마련되어 '책'에 대한 홍보와 전시들, 각종 소품을 판매하고 있었는데,
우연히 그 행사장에 들어갔다가 발견한 것은 영문으로 번역된 최근(?) 한국소설이였다.

내가 해외에 있는 동안 유명해진 소설가였기에 무척 생소한 이름이였는데,
영문 번역된 한국 소설이 행사장에 전시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큰 흥미를 불러일으킬만한 것이였다.
소설의 내용을 떠나, 이 소설이 왜 영국 옥스퍼드에서 소개되는 것일까- 궁금함이 일어나 바로 구입해버렸었다.

그리고 책을 읽으며 보내는 시간보다, 그 내용을 곱씹어보는데 배 이상의 더 많은 시간이 걸리는 소설에 해당되는 것을 곧 깨닫게 되었다.
그런 측면에서 보자면 이 책 충분히 '토론'을 유발할 수 있는 흥미로운 책이다.

하지만, 이 책은 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내 기준에서 보면 극단적인 상황들을 나열했고, 내가 책을 읽으며 가장 불편했던 것은, 등장인물들의 감정에 내 감정이 이입되질 않는 다는 점이였다. 이해불가능한 행동, 불안감, 모순.
매우 강하게 뒤틀려버린 '자기중심'이 타인의 기준과 마찰을 일으키고 있었고, 그로인해 주변인들의 평범함이 위협을 받기에 이른다.
책 제목, 채식주의자는 사실 일반적인 채식주의자를 지칭한다기보다는, 자기의 주관을 주변에 아랑곳 않고 관철시키는 극단적인 사람을 지칭하는 듯 했다 (한국사회에서 채식주의자가 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하려나..) .

(책을 다 읽고 바로 얼마 후, 베지테리안 영문번역이 맨부커상이라는 문학상을 받았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옥스퍼드 서점에서 우연히 발견하게 되었던 것은 정말 인기가 있어서 였던 듯..)

---

어느날부터 한 여인은 꿈을 꾼다. 그다지 좋은 꿈이 아니라서 잠을 잘 수 없다.
그녀가 왜 그 꿈을 꾸는가는 중요하지 않았다.
다만, 그 꿈에 대한 그녀의 대응은 극단적이였다. 고기를 끊더니, 이내 모든 식단을 끊는다. 가슴이 답답해서 모든 겉치레를 벗어버린다. 그리고 그녀의 이 이해할 수 없는 대응은 주변인들을 모두 거칠게 괴롭히기 시작한다.

그녀는 외로웠을지도 모르겠다. 그녀의 꿈을 이해할 수 있는 무엇도 없고, 그녀를 도와주는 이도 없다. 하지만 소설속에서 그녀는 사실 '가해자'에 속했다. 그녀의 '무언'과 '금식'의 선택으로 인해 그녀의 가족들은 파탄나버리기에 이르르니까.

목석같았던 그녀에게 욕정의 감정을 일으킨 단 하나의 기제는 그녀를 하나의 꽃으로 만들어준 형부의 바디페인팅이였다. 그녀는 꽃에 집착해서, 형부는 몽고반점에 집착해서 이성을 놓아버리기에- 소설은 사실 이런 모순이 마치 누구에게나 매우 사소하다고 치부할 수 있는 것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드라마틱하게 묘사해낸다.


먹는 것을 거부하는 그녀의 수명을 이어가도록 강압하는 그녀의 언니. 그러나 사실 언니는 동생이 미쳐가는 것을 보기만 할 뿐 그 무엇도 할 수 없는 미약한 존재에 불과했다. 언니가 아무리 과거를 되씹어 본들, 동생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던 순간은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

---

책을 중간까지 읽던 나의 소감은... 무라사키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를 연상케하는 분위기란 점이였다.
이해 할 수 없는 여인의 행동, 성적인 관계들을 통한 이야기의 흐름, 정적인 분위기등이 그것을 떠올리게 하던 것이였다. 물론, 표현, 상황등은 모두 다르지만..

책을 덮고 한 달이 지난 지금 내가 느끼는 소감은.. 역시나 내가 좋아할 수 있는 책은 아니란 점이다. 하.. 너무 극단적이다. '환상이야기'라고 분류하면 조금 마음이 편해질 정도니까. 이야기의 흐름, 기제와 기폭의 순간 등이 무척 잘 표현된 것만큼은 분명하다. 한글로 보면 조금 다르게 느껴질까?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구글 블로그 댓글 사용이 불편함이 많으니, '익명'으로 쓰시고, 본글에 이름을 적으셔도 무방합니다.

키루나의 채운 Iridescent clouds over Kiruna

파스텔톤의 다채로운 색이 구름의 일부분에 나타나는 현상을 채운이라고 한다. 햇빛이 작은 구름입자들 각각에서 반사를 일으키고, 반사된 빛들이 서로 간섭현상을 일으켜 나타나는 색의 다채로운 변화라고만 알고 있다. 채운이라는 현상을 우리나라에서도 가끔 볼 ...